D

Deep Research Archives

  • new
  • |
  • threads
  • |
  • comments
  • |
  • show
  • |
  • ask
  • |
  • jobs
  • |
  • submit
  • Guidelines
  • |
  • FAQ
  • |
  • Lists
  • |
  • API
  • |
  • Security
  • |
  • Legal
  • |
  • Contact
Search…
threads
submit
login
▲
카카오톡 데이터 관리의 전략적 분석: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부터 데이터베이스 직접 접근까지(docs.google.com)

1 point by adroot1 1 month ago | flag | hide | 0 comments

카카오톡 데이터 관리의 전략적 분석: 소비자용 애플리케이션부터 데이터베이스 직접 접근까지

제 1부: 애플리케이션 생태계: 기존 관리 도구의 검토

카카오톡 데이터를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관리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기능 및 한계를 명확히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분석 결과, 기존 솔루션들은 대부분 일반 사용자의 편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전문적인 데이터 관리 및 분석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1.1 카카오 공식 솔루션: 통제보다 편의성 중심

카카오가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 도구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으나, 데이터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나 구조화된 형태로의 반출 기능은 의도적으로 배제되어 있습니다.

1.1.1 톡서랍 플러스: 클라우드 기반의 폐쇄형 생태계

톡서랍 플러스는 대화, 사진, 동영상, 파일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 백업해주는 구독형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1 100GB부터 1TB까지 다양한 저장 공간을 제공하며 1, 주된 목적은 기기 변경 시 데이터를 원활하게 이전하고 스마트폰의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것입니다.1

하지만 이 서비스는 데이터를 카카오의 자체 생태계 내에 저장하며, 카카오톡 앱이나 전용 웹 인터페이스(drive.kakao.com)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합니다.1 전체 데이터를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 파일 형태로 내보내는 기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앱에서 대화방을 나가거나 대화 내용을 삭제하면 백업된 데이터도 함께 삭제되므로, 영구적인 기록 보관(immutable archival) 목적으로는 부적합합니다.1 오픈채팅이나 비밀채팅은 백업 대상에서 제외되는 점도 명백한 한계입니다.1 이러한 설계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카카오 플랫폼 안에 묶어두어 플랫폼 이탈을 방지하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려는 '데이터 잠금(Data Moat)'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즉, 강력한 데이터 내보내기 기능의 부재는 기술적 한계가 아닌 사업적 결정입니다.

1.1.2 표준 백업/복원: 임시적인 텍스트 전용 솔루션

카카오톡이 무료로 제공하는 기본 백업 기능은 기기 변경을 위해 수동으로 대화 내용을 카카오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4 PC 버전에서도 유사한 백업 기능을 지원합니다.4

이 기능의 제약은 매우 심각합니다. 사진, 동영상과 같은 모든 미디어 파일을 제외하고 오직 텍스트 메시지만 백업됩니다.4 더 결정적인 한계는 백업 데이터의 보관 기한이 14일로 매우 짧으며, 이 기간이 지나면 데이터는 영구적으로 삭제된다는 점입니다.4 백업 시 설정한 비밀번호를 분실하면 데이터를 복구할 방법이 전혀 없습니다.4 결국 이 기능은 영구적인 데이터 관리 도구가 아닌, 일회성의 임시 데이터 이전 수단에 불과합니다.

1.1.3 대화 내용 내보내기: 비구조적인 아카이브

각 대화방 설정 메뉴에서 제공되는 '대화 내용 내보내기' 기능은 특정 대화방의 내용을 외부로 저장할 수 있게 합니다.7

그러나 이 기능의 결과물은 단순 텍스트(.txt) 파일입니다.4 이 형식은 메시지와 사용자 간의 관계, 메시지와 미디어 파일 간의 연결 등 모든 관계형 데이터 구조를 완전히 파괴합니다. 파일을 통해 사용자를 텍스트 이름으로 식별할 수는 있지만, 이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쿼리하거나 분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이는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사람이 읽기 위한 로그 기록에 가깝습니다.

1.2 서드파티 유틸리티: 데이터 복구 시장의 솔루션

카카오의 공식 도구들이 남겨둔 공백을 메우기 위해 'iMyFone D-Back' 10, 'EaseUS MobiSaver' 11, 'Dr.Fone' 12과 같은 서드파티 소프트웨어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이들은 주로 실수로 인한 데이터 삭제, 기기 고장 시 데이터 복구, 또는 카카오의 무료 도구가 원활히 지원하지 않는 운영체제 간(예: iOS ↔ Android) 데이터 이전 목적으로 판매됩니다.7

이들 도구의 핵심 비즈니스 모델은 지속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가 아닌 '재해 복구'입니다. 데이터를 한 번 추출하여 CSV나 HTML 같은 범용 포맷으로 저장해줄 수는 있지만, 실시간으로 쿼리가 가능한 데이터베이스 환경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즉, 데이터베이스 관리를 위한 '수단'이 될 수는 있어도, 그 자체가 '목적'이 되지는 못합니다.

1.3 플랫폼별 특화 도구: 제한된 진보

최근 삼성 스마트 스위치는 기기 변경 시 카카오톡 대화 내용뿐만 아니라 사진, 영상, 심지어 '읽지 않음' 상태까지 이전하는 기능을 통합했습니다.13 이는 분명 사용자 경험의 진보이지만, 본질적으로 기기 대 기기 데이터 이전 메커니즘에 국한됩니다. 데이터를 PC에서 관리할 수 있는 개방적이고 구조화된 데이터베이스 형식으로 내보내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으므로, 전문적인 데이터 관리라는 근본적인 요구를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결론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수준의 모든 솔루션은 '편의성' 또는 '복구'라는 가치를 제공할 뿐,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원하는 기술 전문가의 요구와는 거리가 멉니다. '전문적인 DB 관리'라는 목표는 이들 솔루션의 목표 시장 밖에 존재합니다.


표 1: 애플리케이션 계층 카카오톡 데이터 솔루션 비교 분석

솔루션주요 사용 사례데이터 출력 형식미디어 지원핵심 한계점DB 관리 적합성
톡서랍 플러스클라우드 기반 자동 백업 및 기기 동기화카카오톡 내부 형식 (내보내기 불가)예폐쇄형 생태계, 구조화된 데이터 반출 불가, 삭제 시 동기화부적합
표준 백업/복원기기 변경 시 임시 텍스트 이전카카오 서버 임시 저장 (내보내기 불가)아니요텍스트 전용, 14일 보관 기한, 미디어 미지원부적합
대화 내용 내보내기단일 채팅방 내용의 텍스트 기록.txt 파일아니요 (텍스트만)비구조적 데이터, 관계 정보 소실, 일괄 처리 불가부적합
서드파티 복구 도구데이터 손실 시 복구, OS 간 데이터 이전CSV, HTML 등예 (도구에 따라 다름)일회성 추출, 지속적인 DB 관리 기능 부재제한적 (추출용)

제 2부: API 개발 경로: 가능성과 제약의 검토

"API로 개발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카카오 API의 기능과 제약을 분석한 결과, 이 경로는 사용자의 목표 달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2.1 카카오 메시지 API의 목적 이해

카카오 개발자 문서는 카카오톡 메시지 API의 목적을 명확히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 API는 기존 메시지를 읽거나 내보내는 것이 아닌,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15 API가 지원하는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에게 보내기: 서비스가 사용자 본인의 '나와의 채팅'에 알림이나 메모를 보내는 기능입니다.16
  • 친구에게 보내기: 사용자의 동의(talk_message 권한)를 얻은 후, 친구 목록을 API로 조회하여 특정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입니다.15
  • 템플릿 메시지 발송: 피드, 리스트, 커머스 등 사전에 정의된 형식이나 직접 만든 템플릿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발송합니다.16

가장 결정적인 부분은, get_chat_history나 export_chat_room과 같이 사용자의 과거 대화 기록에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는 API 엔드포인트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2.2 '카카오톡 공유'와 '카카오톡 메시지 API'의 구분

개발자 문서에는 두 가지 유사한 기능이 존재하여 혼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카카오톡 공유: 주로 JavaScript SDK를 통해 구현되며, 사용자가 웹페이지의 공유 버튼을 누르면 카카오톡 앱이 실행되고 공유할 대상을 직접 선택하는 방식입니다.20 이는 사용자가 주도하는 수동적 공유 기능입니다.
  • 카카오톡 메시지 API: REST API 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사용자에게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능동적 기능입니다.16

두 방식 모두 콘텐츠를 '공유'하거나 '전송'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기존 데이터를 '읽어오는' 기능과는 무관합니다.

2.3 카카오워크 API: 잘못된 경로

카카오 i 또는 카카오워크 플랫폼은 기업용 협업 도구인 '카카오워크'를 위한 별도의 메시지 API(messages.send 등)를 제공합니다.23 이 API는 일반 소비자가 사용하는 카카오톡 서비스와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개인 카카오톡의 대화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는 개발 과정에서 불필요한 노력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인지해야 할 중요한 사실입니다.

결론적으로, API를 통한 데이터 관리 접근은 명백한 한계에 부딪힙니다. 카카오가 API를 통해 사용자의 전체 대화 기록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3자 앱에 허용하지 않는 것은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설계에 의한 프라이버시 보호(Privacy by Design)' 원칙에 따른 의도적인 결정입니다. 만약 이러한 API가 존재한다면, 이는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 및 데이터 유출의 통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카카오는 API를 '발신 전용(push-only)' 시스템으로 설계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법적 책임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API 개발 경로는 이 프로젝트의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명백한 막다른 길입니다.

제 3부: 아키텍처의 실체: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 직접 접근

애플리케이션과 API가 해결책이 될 수 없다면, 남은 유일한 방법은 카카오톡 애플리케이션이 로컬 기기에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직접 접근하는 것입니다. 이 접근법은 표준적인 앱 개발이 아닌, 디지털 포렌식의 영역에 가깝습니다.

3.1 핵심 데이터 파일의 위치

카카오톡의 핵심 데이터는 SQLite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저장됩니다.3 주요 파일과 그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핵심 데이터베이스 파일:
    • KakaoTalk.db: 주된 대화 기록(chat_logs)과 채팅방 정보(chat_rooms)를 포함합니다.3
    • KakaoTalk2.db: 친구 목록(friends)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저장합니다.3
  • 파일 경로 (플랫폼별 상이):
    • Android: /data/data/com.kakao.talk/databases/ (루트 권한 필요).3
    • Windows: %LocalAppData%\Kakao\KakaoTalk\users\{사용자 디렉터리}\chat_data\chatLogs_{채팅방 ID}.edb (각 채팅방이 개별 암호화된 .edb 파일로 저장되는 다른 구조).27
    • macOS: 사용자별 디렉터리에 기기 및 사용자 ID의 해시값으로 생성된 파일명으로 저장됩니다.28
  • 미디어 파일: 사진, 동영상과 같은 미디어 파일은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대신 파일 시스템의 별도 경로에 파일로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는 해당 파일에 대한 참조(경로 및 파일명) 정보만 가집니다. 대표적인 안드로이드 경로는 /Android/data/com.kakao.talk/contents/ 입니다.3

3.2 결정적 난관: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로컬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 파일들은 직접 열람할 수 없도록 강력하게 암호화되어 있습니다.24 이것이 이 프로젝트의 가장 큰 기술적 장애물입니다. 암호화 방식은 플랫폼마다 다릅니다.

  • Windows: AES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암호화 키(key)는 기기의 고유 정보(UUID, 하드디스크 모델명, 시리얼 넘버)로 생성된 pragma 값과 사용자의 고유 ID(userId)를 조합하여 MD5 해시를 통해 생성됩니다. 이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암호화는 특정 사용자와 특정 PC 하드웨어에 종속됩니다.27
  • macOS: 데이터베이스 암호화에 SQLCipher를 사용하며, 복호화 키는 PBKDF2 키 파생 함수를 통해 UserID와 DeviceUUID를 조합하여 생성됩니다.28
  • Android: 접근 방식이 달라, 데이터베이스 전체가 아닌 테이블 내의 특정 컬럼(예: chat_logs 테이블의 message, attachment 컬럼)만 개별적으로 암호화됩니다.30

모든 플랫폼에서 암호 해제의 핵심 열쇠 중 하나는 카카오 서버가 각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고유 숫자 식별자인 userId입니다.27 이 값은 기기에서 쉽게 찾을 수 없으므로, 이를 추출하거나 알아내기 위한 포렌식 분석 기술이 필요합니다.25

3.3 복호화된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암호화를 성공적으로 해제하면, 전문적인 관리에 매우 적합한 잘 구조화된 관계형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주요 테이블 및 컬럼:
    • chat_logs (KakaoTalk.db): 핵심 메시지 테이블. id(메시지 ID), chat_id(채팅방 ID), user_id(발신자 ID), message(텍스트 내용), created_at(타임스탬프), attachment(미디어 관련 JSON 정보), type(메시지 종류) 등의 컬럼을 포함합니다.25
    • chat_rooms (KakaoTalk.db): 각 채팅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 friends (KakaoTalk2.db): 친구 목록. id(사용자 숫자 ID), name(표시 이름), status_message(상태 메시지) 등의 컬럼을 포함합니다.25
  • 관계형 모델: chat_logs 테이블의 user_id를 friends 테이블의 id와 조인(join)하여 각 메시지의 발신자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hat_id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화하여 특정 대화의 모든 메시지를 모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전문적인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기초가 됩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전문적인 DB 관리'는 기존 앱이나 API 개발이 아닌, 디지털 포렌식 프로젝트에 가깝다는 사실이 명확해집니다. 루트 권한 획득, 보호된 데이터 영역 접근, 복잡하고 문서화되지 않은 암호화 알고리즘의 역공학 및 구현 등은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범주를 넘어섭니다. 카카오는 의도적으로 데이터 이동을 어렵게 만들었지만, 기술적으로는 로컬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 장애물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최종적으로 원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는 윈도우의 분리된 채팅 파일, 별도의 미디어 파일, 친구 목록 DB 등 흩어져 있는 원시 데이터를 추출(Extract), 변환(Transform, 복호화 및 관계 재구성), 적재(Load)하는 ETL 파이프라인을 직접 구축해야만 얻을 수 있는 결과물입니다.


표 2: 복호화된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의 주요 테이블 개요

데이터베이스 파일테이블명목적주요 컬럼 및 설명
KakaoTalk.dbchat_logs모든 메시지 기록 저장id: 메시지 고유 ID chat_id: 소속된 채팅방 ID (외래 키) user_id: 발신자 ID (외래 키) message: 텍스트 메시지 내용 attachment: 미디어 파일 정보 (JSON 형식) created_at: 메시지 생성 시각 (타임스탬프)
KakaoTalk.dbchat_rooms채팅방 정보 관리id: 채팅방 고유 ID type: 채팅방 종류 (예: 1:1, 그룹) last_log_id: 마지막 메시지 ID
KakaoTalk2.dbfriends친구 목록 및 사용자 정보id: 사용자 고유 숫자 ID (기본 키) uuid: 사용자 고유 식별자 name: 사용자가 설정한 친구 이름 nickname: 사용자의 프로필 이름 status_message: 상태 메시지

제 4부: 종합 및 전략적 제언

지금까지의 분석을 종합하여 카카오톡 데이터 관리에 대한 명확하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제시합니다.

4.1 카카오톡 데이터 관리의 세 가지 경로

  1. 경로 1: 관리형 경로 (소비자 접근법)
    • 방법: 톡서랍 플러스와 같은 공식 도구나 서드파티 앱을 사용합니다.
    • 결과: 편의성은 높지만 데이터 통제권은 거의 없으며, 데이터는 폐쇄된 생태계에 남거나 비구조적 형태로 존재합니다.
    • 결론: 전문적인 DB 관리 목표에 부적합합니다.
  2. 경로 2: 차단된 경로 (API 개발)
    • 방법: 카카오 개발자 API를 이용한 개발을 시도합니다.
    • 결과: API가 과거 데이터 조회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프로젝트는 실패합니다.
    • 결론: 명백한 막다른 길입니다.
  3. 경로 3: 전문가 경로 (포렌식 접근법)
    • 방법: 로컬 기기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직접 접근하여 복호화합니다.
    • 결과: 데이터에 대한 완전한 통제권을 확보하고, 완벽하게 구조화된 쿼리 가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제시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경로이지만, 상당한 기술 전문성을 요구합니다.

4.2 '전문가 경로' 실행 로드맵

이 경로는 다음과 같은 단계별 계획으로 수행될 수 있습니다.

  • 1단계: 장치 및 환경 준비
    • 데이터를 추출할 소스 기기(Android, PC 등)를 선택합니다.
    • 특권 접근 권한을 확보합니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루팅(rooting)이 필요하며 3, 이는 보안상 위험을 수반하는 중요한 전제 조건입니다.
  • 2단계: 데이터 추출
    • 안드로이드 디버그 브리지(ADB) 29나 파일 시스템 직접 접근을 통해 암호화된
      KakaoTalk.db, KakaoTalk2.db 파일과 미디어 콘텐츠 폴더를 개발용 PC로 복사합니다.
  • 3단계: 키 획득 및 복호화
    • 프로젝트에서 가장 복잡하고 핵심적인 단계입니다. 포렌식 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Python과 같은 언어를 사용하여 다음을 수행하는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28
      • 기기 고유 식별자(UUID 등)를 추출합니다.
      • 사용자의 고유 userId를 추출하거나 특정합니다.
      • 선택한 플랫폼에 맞는 정확한 복호화 알고리즘을 구현합니다.27
      • 암호화된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처리하여 읽을 수 있는 SQLite 파일을 생성합니다.
  • 4단계: 데이터베이스 적재 및 관리 (ETL)
    • 최종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할 목표 데이터베이스(예: PostgreSQL, MySQL 또는 새로운 SQLite)의 스키마를 설계합니다.33
    • 복호화된 SQLite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어오는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
    • 메시지, 사용자, 채팅방 간의 관계를 설정하며 새로운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채워 넣습니다.
    • 주기적으로 이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하여 새로운 메시지를 추가하는 증분 업데이트 프로세스를 구현합니다.

4.3 최종 결론 및 요구 역량

최초의 질문이었던 "앱이냐, API냐"에 대한 답은 명확합니다. 둘 다 해결책이 될 수 없습니다. 진정한 해결책은 디지털 포렌식 기술에 기반을 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바일 OS 내부 구조: 파일 시스템, 권한 모델(루팅)에 대한 이해.
  • 암호학: AES, 해시 알고리즘, 키 파생 함수에 대한 실용적인 지식.
  • 소프트웨어 개발: 복호화 및 ETL 프로세스 스크립팅을 위한 Python 등 언어의 숙련도.
  • 데이터베이스 관리: SQL 및 데이터베이스 설계에 대한 지식.

이러한 기술적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다면, 카카오톡 대화를 전문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독자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목표입니다.

引用文献

  1. 톡에서 하는 데이터 관리 톡서랍 플러스 - My 구독,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my.kakao.com/product/DRIVE001
  2. 카카오 톡 대화 내용 내보내기 및 복구를 쉽게 할 수 있는 꿀팁 - YouTube,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nHRDexAvdik
  3. [카톡|백업] 2 카카오톡 컨텐츠 폴더 복사 (사진, 동영상 등 미디어 파일 포함) - rbehd004,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rbehd004.tistory.com/561
  4. 카카오톡, 라인 메시지 앱 백업 및 복원 방법 안내 - 삼성전자서비스,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37959
  5. 카톡 대화내용 백업 / 카카오톡 백업 복원 (휴대폰 교체 시 카카오톡 채팅내용 이전) - YouTube,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yV65vpG6mjw
  6. 카카오톡 pc 버전 대화내용을 백업하고 복구하는 방법 5가지 | 카톡 백업 없이 복구까지,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DD8V3BuM2Y8
  7. 기기 변경할 때 카카오톡 대화 내용 백업 및 복구하는 방법 - Tenorshare,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tenorshare.kr/kakaotalk-tips/how-to-transfer-kakaotalk-chats-when-changed-phone.html
  8. 카카오톡 대화내용으로 워드 클라우드 만들기 - 물흐르듯 개발하다 대박나기 - 티스토리,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haerong22.tistory.com/70
  9. 카카오톡 대화내용 (사진 동영상 포함)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방법.. 카톡 대화내용 내보내기,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youtube.com/watch?v=3fQbJB3M4yA
  10. 'iMyFone D-Back' 새로운 기능 론칭… 아이폰 카카오톡 대화내용, 사진 데이터 백업·복구 가능,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83377
  11. 카카오톡에서 대화 백업 및 복구하는 방법 [PC/노트북/모바일 버전 모두 적용] - EaseUS,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easeus.co.kr/data-recovery/kakaotalk-recovery-in-windows.html
  12. 카톡 대화내용 복구와 Dr.fone - 닥터폰,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drfone.wondershare.kr/data-recovery-solutions/use-drfone-to-restore-your-kakao-chatting-contents.html
  13. 삼성 갤럭시 쓰면 카카오톡 사진·영상도 무료로 옮긴다 - 한겨레,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hani.co.kr/arti/economy/it/1135875.html
  14. 스마트 스위치(Smart Switch) PC프로그램으로 휴대전화 데이터를 이동하고 싶어요.,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samsungsvc.co.kr/solution/25240
  15. 이해하기 | Kakao Developers 문서 - 카카오,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akaotalk-message
  16. REST API - 카카오톡 메시지,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talk-message/rest-api
  17. ☆카카오 API를 이용하여 나에게 메시지 보내기,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foss4g.tistory.com/1624
  18. 웹서버에서 카카오톡 API로 친구에게 메시지 보내기 - (사)경남ICT협회,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gnict.org/blog/2/%EA%B8%80/%EC%9B%B9%EC%84%9C%EB%B2%84%EC%97%90%EC%84%9C-%EC%B9%B4%EC%B9%B4%EC%98%A4%ED%86%A1%EC%9C%BC%EB%A1%9C-%EB%A9%94%EC%8B%9C%EC%A7%80-%EB%B3%B4%EB%82%B4%EA%B8%B0/
  19. 카카오 OpenAPI 활용 - 나에게 카톡 메시지 보내기 - ai-creator - 티스토리,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ai-creator.tistory.com/23
  20. Kakao API를 사용하여 카카오톡 메시지 보내기 in Vite+React+Typescript - velog,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velog.io/@j2noo/Kakao-API%EB%A5%BC-%EC%82%AC%EC%9A%A9%ED%95%98%EC%97%AC-%EC%B9%B4%EC%B9%B4%EC%98%A4%ED%86%A1-%EB%A9%94%EC%8B%9C%EC%A7%80-%EB%B3%B4%EB%82%B4%EA%B8%B0-in-ViteReactTypescript
  21. 카카오톡 공유 메시지(Kakao Developers 이용) - 개발로 가치를 찾는 개발자 - 티스토리,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dongho-kang.tistory.com/entry/%EC%B9%B4%EC%B9%B4%EC%98%A4%ED%86%A1-%EA%B3%B5%EC%9C%A0-%EB%A9%94%EC%8B%9C%EC%A7%80Kakao-Developers-%EC%9D%B4%EC%9A%A9
  22. JAVA로 카카오 메시지 API연동 - 발개발 - 티스토리,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foot-develop.tistory.com/21
  23. Messages - 카카오 i 기술문서,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docs.kakaoi.ai/kakao_work/webapireference/messages/
  24. [아이폰 포렌식] 아이폰 메신저 앱(문자, 카카오톡, 페이스북) 분석 - Science of Deduction,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c0msherl0ck.github.io/mobile%20forensic/post-mobile_iphone_messenger/
  25. 카카오톡 복호화 (KakaoTalk.db decrypt) - 디지털포렌식 까마귀 - 티스토리,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present4n6.tistory.com/84
  26. 루팅 없이 카카오톡 데이터 이전하기 - nenw*,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blog.nenw.dev/kakaotalk-backup-without-root/
  27. 윈도우 환경에서 카카오톡 데이터 복호화 및 아티팩트 분석 연구 - Korea Science,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2312363370599.page
  28. macOS용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 복호화 방안* - Korea Science,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2331137843699.pdf
  29. 안드로이드 카카오톡 백업하기(사진, 대화내용) - 모아이석상의 컴퓨터 이야기,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moaimoai.tistory.com/169
  30. Android :: KakaoTalk DB 복호화 - onsoim의 연구 일지 - 티스토리,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onsoim.tistory.com/entry/Android-KakaoTalk-DB-decryption
  31. 루팅하기 전에 안드로이드 폰을 백업하는 방법 - EaseUS,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www.easeus.co.kr/android-data-recovery/backup-android-phone-before-rooting.html
  32. [포렌식] 윈도우 카카오톡 데이터베이스 복호화 분석 및 구현 #2,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blog.system32.kr/305
  33. [Django] 카카오톡 같은 채팅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설계, 구현, 테스트 코드 만들어보기,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youngminz.netlify.app/posts/django-1-to-1-chat-service/
  34. 서버리스 카카오톡 챗봇 만들기: 4. DynamoDB Table 만들기 - 밀레니얼 개발 블로그, 8月 2, 2025にアクセス、 https://millenial-dev.tistory.com/21
No comments to sh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