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oint by slswlsek 1 day ago | flag | hide | 0 comments
미국 농업의 상품성과 다양성에 대한 심층 분석: 생산, 정책, 그리고 미래 동향에 관한 다각적 연구
요약 보고서
미국 대규모 농업이 소수의 상품 작물 및 가축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는 점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집중화는 단일한 현상이 아니라, 복잡한 경제적, 기술적, 정책적 요인들이 얽혀 형성된 시스템의 결과입니다. 이 보고서는 미국 농업 시스템이 지닌 이중적인 현실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한편으로는 옥수수, 콩, 밀과 같은 몇몇 주요 작물에 최적화된 산업 규모의 대량 생산 모델이 존재하며, 이는 경제적 효율성, 정부 보조금, 그리고 첨단 기술 혁신에 의해 견고하게 뒷받침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특정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특화된 고부가가치 작물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성 높은 농업 시스템이 병렬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우리는 대규모 단일 작물 재배 모델이 장기적인 취약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토양 황폐화, 생태계 교란(특히 꿀벌 군집 붕괴), 그리고 기후 변화에 대한 구조적 취약성은 더 이상 무시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현재 미국 정부와 산업 관계자들 사이에서 "식량 안보"를 핵심 의제로 재평가하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또한 지속 가능한 유기농 식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와 새로운 농업 기술의 발전이 이러한 취약성을 극복하고 더욱 회복력 있고 다양한 미래 식량 시스템을 구축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합니다.
미국의 대규모 농장에서 생산되는 농수산물의 종류가 다양하지 않은지에 대한 질문은 단순히 '그렇다' 혹은 '아니다'로 답하기에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 질문은 현대 미국 농업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경제적, 정치적, 기술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출발점입니다. 단일 재배(Monoculture)라는 개념은 종종 비효율적이거나 환경에 해로운 것으로 간주되지만, 미국 농업에서는 수십 년에 걸쳐 시장의 수요와 정부의 정책, 기술 발전이 결합된 결과로 형성된 논리적인 시스템의 산물입니다. 이 보고서는 이 표면적인 질문을 넘어서, 미국 농업의 이중적인 현실을 해부하여 심층적인 통찰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미국 농업 부문은 동질적인 하나의 시스템이 아닙니다. 이 보고서는 미국의 농업이 지배적인 대규모 상품 생산 시스템과 함께, 고부가가치 농산물에 특화된 지역별 농업 시스템이라는 두 개의 궤도로 구성되어 있음을 밝혀낼 것입니다. 이 이중적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 질문에 대한 포괄적이고 미묘한 답을 제시하는 핵심입니다. 한편에서는 규모의 경제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다른 한편에서는 지역의 특수성을 살려내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단기적인 경제적 효율성과 장기적인 시스템적 지속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 사이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상충 관계를 명확하게 보여줍니다.
2.1. 주요 상품 작물 및 가축의 지배력
미국의 대규모 농장은 소수의 핵심 작물과 가축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집중화는 세계적인 수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동인이 됩니다. 농작물 부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옥수수입니다. 미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옥수수를 생산하며, 그 생산량은 392,000단위(명확한 단위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맥락상 수천 톤 혹은 그 이상으로 추정됨)에 달해 다른 어떤 작물보다도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1 옥수수에 이어 콩이 주요 생산 작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외에도 밀, 수수, 쌀과 같은 곡물이 중요한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수박(872), 호박(683), 그레이프프루트(558), 블루베리(255)와 같은 다양한 농산물도 생산되지만, 그 양은 훨씬 적어 대규모 농업 생산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합니다.1 축산업 역시 비슷한 양상을 보입니다. 미국의 주요 축산업은 젖소, 고기소, 돼지, 가금류, 양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닭고기, 쇠고기, 돼지고기의 생산량은 2000년대 초반부터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2010년 이후에는 닭고기 생산량이 1,600만 톤, 돼지고기는 1,000만 톤을 넘어섰습니다.2 반면 염소, 말, 칠면조와 같은 가축도 사육되지만, 그 규모는 훨씬 작고 관련 재고 데이터도 주요 산업만큼 쉽게 이용할 수 없습니다.1 이러한 데이터는 미국 농업이 특정 상품에 고도로 집중되어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2.2. 집중화에 대한 통계적 증거
이러한 생산량 집중화는 통계적으로도 명확히 드러납니다. 미국 전역의 농지를 조사한 결과, 총 4억 8백만 에이커의 경작지 중 일리노이, 아이오와, 인디애나, 오하이오, 미주리, 네브래스카, 켄터키를 포함하는 중부 지역은 미국 전체 농산물의 약 23%를 생산하지만, 가장 낮은 작물 다양성을 보이고 있습니다.3 이는 이 지역 농가들이 시장 가격의 압력으로 인해 결국 옥수수와 콩 두 가지 작물에만 집중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3 이러한 현상은 특정 농작물이 경제적 이점을 가질 때, 해당 지역의 농업 시스템 전체가 그 작물에 의존하게 되는 경향을 보여줍니다. 밀 재배 면적의 경우, 낮은 수익성으로 인해 2021/22년부터 2030/31년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수익성이 낮은 작물이 대규모 농업 시스템에서 점차 퇴출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4
2.3. 인과관계 분석: 생산량과 가치의 연관성
미국 대규모 농업의 주요 목표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효율성 극대화입니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지속적으로 높이는 데 있습니다. 농무부(USDA)의 2030년 농업 전망에 따르면, 옥수수 재배 면적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증가하여 전체 생산량은 2030/31년에 최고 수준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4 이는 농가들이 농지 면적을 늘리는 대신, 기존의 농지에서 더 많은 양을 생산하는 데 주력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생산성 증가는 고도로 기계화된 농업 시스템 덕분에 가능하며, 다른 나라들에 비해 높은 수확량을 기록합니다.1 2004년 기준으로 미국은 옥수수 평균 수확량이 에이커당 160.4부셸을 기록했으며, 콩과 밀 역시 각각 에이커당 42.5부셸과 43.2부셸의 높은 수확량을 기록했습니다.1 이러한 집중화는 우연한 선택이 아니라, 복잡하게 얽힌 경제적, 기술적, 정책적 인센티브의 산물입니다. 단일 작물 재배는 파종, 유지보수, 수확을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수익성을 높입니다.5 이와 동시에 정부는 작물 보험 및 재해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단일 작물 재배가 가지는 위험을 완화해주는 안전망을 제공합니다.6 예를 들어, 무보험 작물 재해 지원 프로그램(NAP)은 자연재해로 인한 수확량 손실에 대해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며, 이는 대규모 농업 경영체가 단일 작물에 집중할 수 있는 구조를 강화합니다. 또한, 자율주행 트랙터, 인공지능 분석, 위성 이미지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정밀 농업은 방대한 단일 작물 재배 농지에서 최적의 효율성을 달성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8 이러한 기술은 비료 사용량을 크게 줄이고(예: 옥수수 재배 농가에서 60% 절감) 8 생산성을 두 배 이상 높여 단일 작물 모델의 경제적 이점을 더욱 확고히 합니다. 결과적으로, 미국 농업은 정책이 수익성이 높은 작물을 장려하고, 기술이 그 생산을 최적화하며, 이로 인한 경제적 성공이 시스템을 더욱 공고히 하는 상호 강화적 순환을 형성했습니다.
3.1. 규모의 경제와 효율성
대규모 단일 작물 재배의 가장 큰 경제적 동인은 바로 규모의 경제를 통한 비용 절감입니다. 단일 작물 재배는 농부들이 농기계, 종자, 비료 및 살충제를 대량으로 구매하고 사용하게 하여 단가를 낮춥니다.5 또한, 하나의 작물에 특화된 장비를 사용하고 재배 주기를 단순화함으로써 인건비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5 이러한 효율성 추구는 농가의 소득 증대로 이어집니다. 대규모 농가는 소규모 농가에 비해 농업 소득 비중이 높고, 규모의 경제를 통해 더 높은 수익률을 창출합니다.9 이는 특히 중서부의 넓은 농지에서 옥수수와 콩과 같은 상품 작물을 재배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하지만, 단일 작물 재배는 자연재해로 인한 소득 불안정성이라는 고유한 위험을 수반합니다.9 이에 대해 대규모 농가는 일반적으로 더 큰 가계 자산 가치를 보유하고 있어, 이러한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분석됩니다.9
3.2. 정부 정책과 보조금의 역할
미국 정부의 농업 정책은 현재의 대량 생산 체제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1933년 대공황 시기에 제정된 농업조정법(Agricultural Adjustment Act, AAA)은 농산물 가격을 높이기 위해 농부들에게 토지 일부에 작물을 심지 않는 대가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도입했습니다.10 이 법은 정부가 시장에 직접 개입하여 농업 생산을 조절하는 선례를 만들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소수 작물의 대량 생산 시스템을 지지하는 정책적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현대의 보조금 및 재해 지원 프로그램 역시 이러한 구조를 강화합니다. 미국 농무부(USDA)의 무보험 작물 재해 지원 프로그램(NAP)은 자연재해로 인한 작물 손실을 보상하여, 농가들이 보험에 들지 않은 작물을 재배할 때의 재정적 위험을 줄여줍니다.6 이 프로그램은 개인 또는 단체당 연간 보조금 한도를 설정하고 있어, 대규모 농업 경영체가 특정 작물을 대량으로 재배하는 데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합니다.6 이러한 정책적 안전망은 시장의 변동성과 자연재해의 위험으로부터 대규모 농가를 보호하며, 단일 작물 재배 모델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줍니다.
3.3. 기술 통합과 그 영향
기술은 대규모 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동력입니다. 미국은 자율주행, 인공위성, 빅데이터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이 접목된 데이터 기반 정밀 농업이 활발하게 상용화되고 있습니다.8 팜로그(Farm Logs)와 같은 빅데이터 기업은 위성 이미지, 기상 데이터, IoT 장치를 분석하여 농부들에게 정밀한 재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8 또한, 존 디어(John Deere)와 같은 농기계 기업들은 자율주행 트랙터, 잡초 제거 로봇, 목화 수확 로봇 등을 개발하여 대규모 노지 농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합니다.8 이러한 기술은 정밀한 비료 살포를 통해 비료 투입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합니다.8 유전 공학 기술 역시 집중화된 농업 시스템을 공고히 합니다. 현재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유전자 변형(GM) 작물은 콩, 옥수수, 카놀라, 목화, 알팔파, 설탕 사탕무, 호박, 파파야, 감자, 사과 등 소수 품종에 불과합니다.11 이들 작물은 특정 제초제에 내성을 갖도록 개량되어 대규모 농지 관리를 간편하게 만들고,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생산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GM 연어는 상업적으로 유통이 허가된 최초의 GM 동물로서, 야생 개체군 보호 등 여러 이유로 유전적으로 변형되었습니다.11 이처럼 기술은 소수의 작물에 대한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맞춤 개발되어, 대규모 단일 작물 재배 모델의 경제성을 더욱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4.1. 고부가가치 특화 작물
미국 농업이 옥수수와 콩과 같은 상품 작물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은 명백하지만, 이는 전체 그림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특정 지역에서는 기후, 토양, 그리고 시장의 요구에 따라 고부가가치 특화 작물을 중심으로 한 다양성 높은 농업이 발달했습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의 나파 밸리는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피노누아르와 같은 포도 품종을 재배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한 와인 생산지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13 캘리포니아의 또 다른 지역에서는 하스, 푸에르테, 리드 아보카도와 같은 다양한 아보카도 품종을 생산하여 세계 최대 아보카도 생산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13 플로리다는 발렌시아, 네이블, 카라 카라 오렌지 품종으로, 위스콘신은 富治, 매킨토시, 레드 델리셔스 등 다양한 사과 품종으로 유명합니다.13 또한, 캘리포니아 왓슨빌 지역은 브룩스, 투라락과 같은 다양한 체리 품종을 조기에 수확하여 높은 가격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습니다.14 이처럼 이들 지역의 농산물은 단순한 대량 생산품이 아니라, 고유한 품질과 가치를 지닌 '브랜드'로서 시장에서 경쟁합니다.
4.2. 로컬 푸드 시스템의 부상
대규모 상품 작물 시장과는 별개로, 로컬 푸드(Local Food) 시스템은 새로운 형태의 다양성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이는 대량 유통 시스템이 아닌 지역 사회 내에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직접 연결되는 먹거리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소비자들의 높은 수요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기꺼이 가격 프리미엄을 지불하려 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15 특히, 레스토랑과 학교 급식 프로그램(‘farm-to-school’ 프로그램)의 로컬 푸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들 대형 고객층이 로컬 푸드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15 이러한 로컬 푸드 트렌드는 소규모 농장들이 다품종 소량 생산을 통해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줍니다. 예를 들어, 한 소규모 농장에서는 특정 과수원의 벌레 먹은 과일을 처리하기 위해 제주 흑돼지와 닮은 아메리칸 기니 혹(American Guinea Hog) 품종을 키우거나, 닭장 규모를 키워 다양한 품종의 닭을 풀어놓고 키우는 등 대규모 농장과는 다른 방식을 채택합니다.16 이처럼 로컬 푸드 시스템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공급망을 보완하며, 기존 주류 유통업체들의 전략적 파트너로 부상하면서 농업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있습니다.15
4.3. 유기농 시장의 성장
유기농 및 지속 가능한 농업 부문은 산업화된 농업 모델의 한계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기농 시장은 2019년 58억 달러에서 2021년 61억 달러로 성장하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건강과 환경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높아진 결과입니다.17 유기농 종자 산업은 이러한 성장의 중요한 축입니다. 유기농 종자 품종은 일반적으로 특정 기후에 가장 적합하고 화학적 개입 없이 해충과 질병에 저항력이 있는 재래종 또는 지역 적응 품종인 경우가 많습니다.17 이는 단일 품종의 유전적 취약성을 보완하며, 유전적 다양성 보존과 탄력적인 농업 시스템 구축에 기여합니다.17 유기농 종자 시장은 논 GMO 육종 기술을 통해 질병 저항성 및 고수율 품종을 개발하고, 드론 및 AI 분석과 같은 정밀 농업 도구를 활용하는 등 혁신을 거듭하고 있습니다.17 이는 대규모 농업의 효율성과 유기농업의 지속가능성이 결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5.1. 환경적 영향
단일 작물 재배에 집중된 대규모 농업 시스템은 상당한 환경적 비용을 수반합니다. 단일 작물을 지속적으로 재배하면 토양에서 특정 영양소가 고갈되고, 이는 토양을 건조하고 침식에 취약하게 만듭니다.18 농부들은 고갈된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 화학 비료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고, 이는 결국 토양의 질을 더욱 악화시킵니다.19 비료와 농약의 과도한 사용은 인근 수계를 오염시키고 수생 생물을 해치는 원인이 되며 18, 제초제에 내성을 가진 '슈퍼 잡초'를 출현시켜 더 강력한 제초제를 사용하게 만드는 악순환을 초래합니다.18 또한, 단일 재배 작물에 사용되는 신경독성 살충제는 꿀벌을 비롯한 수분 매개 곤충에게 치명적입니다. 꿀벌 폐사는 단순한 생태계 문제가 아니라, 국가 식량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됩니다.20 꿀벌은 수많은 작물의 수분을 담당하며, 이들의 감소는 식량 생산 규모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단일 작물 재배와 살충제 사용이 상호작용하여 생태계의 자연적 회복력을 약화시키는 것입니다.
5.2. 시스템적 충격에 대한 취약성
소수의 유전적으로 동질적인 작물에 의존하는 시스템은 예상치 못한 시스템적 충격에 매우 취약합니다. 단일 작물 재배는 작물을 가뭄과 병충해에 취약하게 만들며, 이는 단 한 번의 질병이나 해충 창궐로 인해 전체 수확량이 파괴될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합니다.3 실제로 지난 1990년대 노스다코타주에서는 병충해로 인해 보리와 밀 농장이 큰 타격을 입었고, 이는 농작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3 기후 변화는 이러한 취약성을 더욱 심화시킵니다. 옥수수, 면화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현금 작물'은 가뭄과 같은 극단적인 기상 현상에 노출될 경우 수자원 고갈을 가속화하고 생산량이 급감할 수 있습니다.22 또한, 식량과 자원이 전략적 무기로 활용되는 시대에는 기후위기, 지정학적 갈등, 경제 침체와 같은 비기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공급을 줄이고 가격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19 이처럼 단일 작물 재배 시스템은 단기적인 효율성을 추구함으로써 장기적인 환경 및 식량 안보에 대한 다층적인 위험을 만들어냈습니다.
6.1. 식량 안보에 대한 전략적 재평가
글로벌 기후 위기와 지정학적 불안정성이 심화됨에 따라, 주요 농업 대국들은 식량을 단순한 무역 상품이 아니라 국가의 필수 전략 자산으로 재인식하고 있습니다.23 미국 정부 역시 이러한 흐름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2025년 농업법(Farm Bill 2025) 초안에는 '식량 안보(Food Security)'가 핵심 의제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자국 농업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겠다는 명확한 신호입니다.23 이러한 정책적 전환은 단순히 시장 자유화를 넘어, 기후 변화에 대한 회복력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19
6.2. 지속 가능성과 재생 농업에 대한 노력
미국 농업은 '보전 기반 농생태학적 접근법(conservation-based agroecological approaches)'의 필요성을 점차 인식하고 있습니다.19 이러한 접근법은 토양 건강을 유지하고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농업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작물 순환 및 다양화, 토양 관리 기술(퇴비화, 덮개 작물 심기)과 같은 지속 가능한 농업 관행이 확산되고 있습니다.24 기술 역시 이러한 변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IoT) 센서, 인공위성, 빅데이터 분석 등 정밀 농업 기술은 이제 단순히 생산량을 늘리는 것을 넘어, 효율적인 물 관리, 토양 건강 모니터링, 폐기물 감소 등 지속 가능한 관행을 지원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24 이러한 기술의 재활용은 대규모 농업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새로운 모델을 가능하게 합니다.
6.3. 기술과 혁신의 지속적인 역할
미래의 농업 기술은 단순히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것을 넘어, 농업 시스템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됩니다. 생명공학은 유전자 변형 기술을 넘어, 식물을 이용한 '먹는 백신' 개발과 같이 자연의 유전적 도구를 활용하여 식량 안보 및 환경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확장되고 있습니다.11 또한, 로봇 파종기(초당 720개의 옥수수 씨앗을 심을 수 있는)와 같은 첨단 기술은 계속해서 효율성을 높일 것입니다.8 중요한 것은 이러한 기술적 효율성이 기존의 단일 재배 모델을 더욱 공고히 할지, 아니면 다품종 재배와 지속 가능한 농업을 가능하게 하는 방향으로 재정립될 것인지입니다. 정부의 정책적 방향 전환과 소비자들의 요구 변화는 기술 개발의 방향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변수가 될 것입니다.
부록
표 1: 미국 주요 농산물 생산량 및 동향 (2000-2015/16년)
농산물 (품목) 2000년 (단위: 백만 톤) 2010년 (단위: 백만 톤) 2015/16년 (단위: 백만 톤) 주요 추세 옥수수 250 350+ 380+ 꾸준한 생산량 증가 (연평균 3.2% 증가) 식용대두 40.5 40.4 40.5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생산량 유지 밀 56.1 55.0 50.8 생산량 점진적 감소 닭고기 14 16+ 16.5 꾸준한 생산량 증가 (연평균 1.8% 증가) 돼지고기 8.7 10+ 10.4 꾸준한 생산량 증가 (연평균 1.8% 증가) 쇠고기 11 11 11.5 2000년 이후 정체 상태 유지 기타 수박: 872 호박: 683 블루베리: 255 호밀: 214 사탕무: 30.7 소량 생산되나, 다양성은 존재
자료 출처: 1
표 2: 지역별 전문화 및 고부가가치 작물
지역 주요 특화 작물 특화 품종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 포도 (와인)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피노누아르 캘리포니아 (아보카도) 아보카도 하스, 푸에르테, 리드 캘리포니아 (왓슨빌) 딸기 카마로사, 알비온, 스위트 앤 캘리포니아 (체리) 체리 브룩스, 투라락, 빙, 레디언스펄 플로리다 오렌지 발렌시아, 네이블, 카라 카라 위스콘신 사과 富治(Fuji), 매킨토시, 레드 델리셔스 중서부 (일리노이, 아이오와 등) 옥수수, 콩 (다양성 낮음)
자료 출처: 13 참고 자료 미국의 농업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A%B5%AD%EC%9D%98_%EB%86%8D%EC%97%85 미국의 농업 현황과 농업 정책* - KREI Repository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2081/1/%EB%AF%B8%EA%B5%AD%EC%9D%98%20%EB%86%8D%EC%97%85%20%ED%98%84%ED%99%A9%EA%B3%BC%20%EB%86%8D%EC%97%85%20%EC%A0%95%EC%B1%85.pdf [미국-LA]미국 내 농산물의 다양성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 KATI 농식품수출정보,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m.kati.net/board/exportNewsView.do?board_seq=43895&menu_dept2=35&menu_dept3=71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 KREI Repository,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26885/1/E03-2021-07-02.pdf 농림업이란 무엇이며 단일 재배보다 나은 이유 - MTG - Mind the Graph,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mindthegraph.com/blog/ko/%EB%86%8D%EB%A6%BC%EC%97%85-%EB%8C%80-%EB%8B%A8%EC%9D%BC-%EB%AC%B8%ED%99%94/ 재해 지원,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fsa.usda.gov/sites/default/files/documents/noninsured_crop_disaster_assistance_program-nap-fact_sheet_korean.pdf 미국의 활동적 농업인, 농업경영체, 가족농의 정의 USDA 농업전망 2030 - KREI Repository,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30353/1/E03-20-e10.pdf 스마트농업 해외 기술 동향 - KREI Repository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repository.krei.re.kr/bitstream/2018.oak/31527/1/02_%28%EA%B8%80%EB%A1%9C%EB%B2%8C%EC%84%B8%EC%85%98-%EA%B8%B0%ED%9A%8D%29%20%EC%8A%A4%EB%A7%88%ED%8A%B8%EB%86%8D%EC%97%85%20%ED%95%B4%EC%99%B8%20%EA%B8%B0%EC%88%A0%20%EB%8F%99%ED%96%A5.pdf 미국의 농업․농정 동향,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aglook.krei.re.kr/main/uEventData/1/download/22/308/pdf 농업조정법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ko.wikipedia.org/wiki/%EB%86%8D%EC%97%85%EC%A1%B0%EC%A0%95%EB%B2%95 미국에서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www.croplifekorea.org/rb/?c=4/18&p=14&uid=2023 미국에서 현재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은 어떤 것이 있나요?,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www.croplifekorea.org/rb/?c=4/18&iframe=Y&print=Y&uid=2023 미국 최대 규모 농장 5곳: 농업 거물들을 만나다 - Cty TNHH Nhựa ATP,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duyngoc.vn/ko/%EB%AF%B8%EA%B5%AD-%EC%B5%9C%EB%8C%80-%EA%B7%9C%EB%AA%A8-%EB%86%8D%EC%9E%A5-5%EA%B3%B3-%EB%86%8D%EC%97%85-%EA%B1%B0%EB%AC%BC%EB%93%A4%EC%9D%84-%EB%A7%8C%EB%82%98%EB%8B%A4/ 미국 체리 산업의 경쟁력: 가격과 품질의 결정체 - 메일리,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maily.so/fruitmong/posts/2qzpyepwz4x 미국의 로컬푸드 허브 현황 및 시사점,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cni.re.kr/main/contents/report/down?gcd=AC0000011334&seq=1 Hundred Fruit Farm | 미국 동부 작은 가족 농장 이야기. 퍼머컬쳐 (Permaculture), 지속가능, 친환경 생활일지.,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hundredfruit.wordpress.com/ 유기농 종자 품종 시장 규모, 점유율 및 추세, 2034,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gminsights.com/ko/industry-analysis/organic-seed-varieties-market 인류의 식단 균일화와 생태계 - 대학지성 In&Out,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132 미국 농업부문 기후변화 평가,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krei.re.kr/wldagr/board/atchDown.do?no=111411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美 국가 식량 안보 문제" [지금이뉴스] / YTN - YouTube,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r1_9bh4zz7k 동부콩·아마란스 아시나요?…기후위기서 인류 구할 작물입니다 - 한겨레,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055780.html WRI, 세계 농작물 4분의 1 물부족 문제 직면…“식량안보·경제 모두 위협” - 그리니엄,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greenium.kr/news/58400/ 기후 위기에 트럼프 리스크까지…커지는 '식량위기' 우려 : 한국농촌 ...,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krei.re.kr/krei/page/17?cmd=view&pst=503120&pageIndex=1 지속 가능한 농업이란 무엇인가요? - IBM, 9월 9, 2025에 액세스, https://www.ibm.com/kr-ko/think/topics/sustainable-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