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Deep Research Archives

  • new
  • |
  • threads
  • |
  • comments
  • |
  • show
  • |
  • ask
  • |
  • jobs
  • |
  • submit
  • Guidelines
  • |
  • FAQ
  • |
  • Lists
  • |
  • API
  • |
  • Security
  • |
  • Legal
  • |
  • Contact
Search…
threads
submit
login
▲
미국 언론이 보도하는 K-POP의 현지 인기 실태: 종합적인 시장 및 문화 분석 보고서(docs.google.com)

1 point by slswlsek 3 weeks ago | flag | hide | 0 comments

미국 언론이 보도하는 K-POP의 현지 인기 실태: 종합적인 시장 및 문화 분석 보고서

Executive Summary

미국 내 K-POP의 현재 위상은 물리적 앨범 판매와 대규모 라이브 공연에서 강력한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디지털 스트리밍 성장세는 정체되는 이중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보고서는 K-POP의 성장이 대규모의 폭넓은 대중적 수용보다는, 디지털에 능숙하고 소비 지출이 큰 '슈퍼팬(superfan)'이라는 고도로 조직화된 팬층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는 K-POP이 라틴 음악이나 아프로비츠와 같은 다른 글로벌 장르와의 경쟁 심화라는 전략적 과제에 직면해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핵심 팬덤의 참여를 광범위한 대중적 호소력으로 전환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본 보고서는 물리적 판매와 투어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수익원을 구축하는 동시에, 애니메이션 사운드트랙과 같은 새로운 콘텐츠 중심의 전략을 모색하여 핵심 팬덤을 넘어선 팬들에게까지 장르의 매력을 확장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Section 1: K-POP 미국 시장 침투의 진화하는 양상

1.1. 차트 이정표의 10년: 바이럴 히트곡에서 꾸준한 성과로

K-POP의 미국 음악 시장 여정은 2012년 싸이(PSY)의 "강남스타일"과 같은 바이럴 히트곡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그룹이 주요 차트에 꾸준히 데뷔하는 현상으로 발전했다.1 이러한 진화는 빌보드 핫 100(Billboard Hot 100) 및 빌보드 200(Billboard 200) 차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017년 방탄소년단(BTS)이 "DNA"로 핫 100에 처음 진입한 것을 시작으로, 이후 그들의 앨범 6개가 빌보드 200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3 이러한 성과는 K-POP이 현재 시장에 도달하기까지의 중요한 배경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뉴진스(NewJeans), 아일리닛(ILLIT), 르세라핌(LE SSERAFIM)과 같은 차세대 그룹들이 차트에 진입하면서, 차트 내 입지가 더 이상 소수의 최고 그룹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3 다음 표는 2017년부터 2025년까지의 주요 K-POP 그룹의 빌보드 핫 100 데뷔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장르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그 존재감이 확장되고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근거가 된다. Table 1: 주요 K-POP 그룹의 빌보드 핫 100 데뷔 (2017-2025) 아티스트 곡명 데뷔 연도 순위 미국 판매량 미국 스트리밍 수 BTS DNA 2017 85위 1만 4천 장 530만 회 BLACKPINK DDU-DU DDU-DU 2018 55위 7천 장 1,240만 회 TWICE The Feels 2021 83위 1만 4백 장 470만 회 NewJeans Ditto 2023 96위 1천 장 510만 회 Fifty Fifty Cupid 2023 100위 1천 장 570만 회 Stray Kids LALALALA 2023 90위 3천 장 620만 회 ILLIT Magnetic 2024 91위 1천 장 620만 회 LE SSERAFIM Easy 2024 99위 1천 장 520만 회 ATEEZ Lemon Drop 2025 69위 3만 3천 장 200만 회

1.2. 차트 성공의 해체: 현대 K-POP의 성공 공식

빌보드의 차트 산정 방식에 기반하여 K-POP의 성공 요인을 분석해보면, 그룹별로 성공 전략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랙핑크(BLACKPINK)와 뉴진스 같은 그룹의 높은 차트 순위는 스트리밍에 크게 의존하는데, 일부 곡의 경우 스트리밍이 총 점수의 90% 이상을 차지한다.3 반면, 에이티즈(ATEEZ)는 "Lemon Drop"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주로 싱글 판매(73.3%)에 의존했으며 스트리밍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26.7%)을 차지했다.3 이러한 차이는 성공의 본질에 대해 중요한 질문을 던진다. 스트리밍 성공은 광범위한 디지털 참여를 나타내는 반면, 높은 판매량은 물리적 또는 디지털 앨범을 구매하는 열성적인 팬층의 존재를 의미한다. 최근 K-POP 그룹의 빌보드 핫 100 차트 내 "인기"는 주류 라디오 방송이나 폭넓은 대중의 스트리밍을 반영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대신 이는 집중적인 구매 및 스트리밍 캠페인을 조직하는 헌신적인 팬덤의 초(超)참여(hyper-engagement)가 만들어낸 결과물로 해석될 수 있다.3 실제로 뉴진스, 아일리닛, 르세라핌 같은 그룹들의 경우, 스트리밍이 점수의 95% 이상을 차지했는데, 이는 팬들이 특정 곡을 여러 번 반복해서 듣는 조직적인 캠페인에 참여했음을 시사한다.3 반면,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초기 데뷔 사례를 보면 스트리밍 비중이 각각 70.2%, 90.5%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이들은 이후 주류 TV 쇼나 음악 페스티벌 출연을 통해 점진적으로 인기를 확장했다.5 이는 K-POP의 차트 성공이 팬덤의 디지털 동원력과 정교함에 크게 좌우되며, 반드시 폭넓은 대중적 호소력이나 라디오 방송 빈도(예: 아일리닛의 "Magnetic"은 라디오 방송이 2.5%에 불과함)와 직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기"는 과거의 유기적이고 주류적인 히트와는 다른 형태의 인기를 의미한다. Table 2: 선정된 K-POP 트랙의 빌보드 핫 100 지표 세부 분석 아티스트 곡명 연도 순위 판매량 비중 (%) 스트리밍 비중 (%) 에어플레이 비중 (%) BTS DNA 2017 85 29.8 70.2 N/A BLACKPINK DDU-DU DDU-DU 2018 55 9.5 90.5 N/A TWICE The Feels 2021 83 23.4 76.6 N/A ILLIT Magnetic 2024 91 2.5 96 2.5 Stray Kids LALALALA 2023 90 5 95 N/A ATEEZ Lemon Drop 2025 69 73.3 26.7 N/A LE SSERAFIM Easy 2024 99 3 97 N/A

1.3. 바이럴리티의 새로운 공식: KPop Demon Hunters 사례 연구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KPop Demon Hunters"의 사운드트랙은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7 리드 싱글 "Golden"이 핫 100 차트에서 1위에 올랐으며, 사운드트랙의 7곡이 톱 30에 진입했다.7 이 성공은 주로 스트리밍에 힘입었으며, 사운드트랙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도 2위를 차지했다.8 이 사례는 기존의 아이돌 그룹이 아닌 콘텐츠 중심의 크로스 미디어 프로젝트를 통해 주류 차트를 장악하는 새로운 경로를 보여주기에 매우 중요하다. "KPop Demon Hunters"의 광범위한 인기는 K-POP의 독특한 사운드와 문화에 대한 새로운 청취자들의 거부감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트로이 목마" 역할을 할 수 있다.9 이 사운드트랙의 성공은 K-POP을 새로운 청중에게 소개하는 강력하고 비전통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이 접근법은 기존의 아이돌 시스템에만 의존하는 대신, 인기 있는 서구 콘텐츠 포맷(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을 활용하여 K-POP을 익숙하고 접근하기 쉬운 방식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복잡한 팬덤 문화와 언어 장벽이 캐주얼한 청취자들의 유입을 막을 수 있다는 점을 극복한다.2 따라서 이 콘텐츠 중심 접근법은 K-POP 시장 확장을 위한 청사진이 될 수 있으며, 장르나 아티스트에 대한 사전 지식 없이도 접근할 수 있는 새로운 진입점을 제공한다.

Section 2: 경제적 동인 및 팬 참여: 주류 지표를 넘어서

2.1. 두 가지 시장 이야기: 디지털 스트리밍 vs. 물리적 판매

K-POP의 미국 시장 내 존재감에는 중요한 모순이 존재한다. 디지털 스트리밍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반면, 물리적 앨범 판매는 이례적으로 강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11 2025년 Luminate Midyear Music Report에 따르면, K-POP은 미국 내 전체 스트리밍 순위 톱 10에 진입하지 못했는데, 이는 K-POP 청중이 "헌신적이지만 상대적으로 틈새 시장"임을 보여준다. 이 보고서는 서구 팝스타들과 라틴, 아프로비츠 같은 다른 지역 장르와의 경쟁 심화를 언급하며 이러한 현상을 설명한다.11 그럼에도 불구하고, K-POP의 미국 톱 10 CD 앨범 차트 내 점유율은 다른 어떤 국제 장르보다 강력했다.11 구체적인 예로 스트레이 키즈(Stray Kids)의 "HOP"이 14만 9천 장 판매로 2위를, 엔하이픈(ENHYPEN)의 "Desire: Unleash"가 14만 5천 장 판매로 3위를, 에이티즈의 "Golden Hour: Part. 3"가 11만 6천 장 판매로 4위를 차지했다.11 이러한 데이터는 디지털 소비와 물리적 소비 간의 단절을 명확하게 보여준다. 미국 스트리밍의 정체와 물리적 판매의 강세는 K-POP의 경제적 동력이 캐주얼한 리스닝을 넘어선 요인에 의해 움직이는 핵심 "슈퍼팬" 그룹에 의해 좌우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 팬 중심의 경제 모델은 탄탄하지만, 진정한 주류 시장 침투에는 한계가 있다. 디지털 시대에 물리적 앨범 구매는 종종 수집이나 지지 표시를 위한 고비용의 비필수 품목으로 간주된다.6 이러한 행동은 음반 업계의 "슈퍼팬" 개념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들은 상품을 구매하고, 앨범을 사고, 공연에 참석하며, 장르의 가치에 불균형적인 기여를 한다.12 그러나 이러한 헌신적인 행동은 주류 수용을 대변하지 않는다. 낮은 스트리밍 수치는 핵심 팬층을 넘어서는 참여가 부족함을 확인시켜 준다.11 따라서 슈퍼팬에 대한 이러한 의존성은 K-POP의 미국 내 주류 어필에 "천장"을 형성하며, 소수의 핵심 그룹(예: 최근 보고서에서 방탄소년단이 상위 글로벌 스트리밍 아티스트 목록에서 빠진 경우)의 부재나 팬 참여 변화에 취약하게 만든다.11 Table 3: 미국 톱 10 K-POP 앨범 판매량 (2025년 상반기) 순위 아티스트 앨범명 판매량 (단위: 장) 2 Stray Kids HOP 149,000 3 ENHYPEN Desire: Unleash 145,000 4 ATEEZ Golden Hour: Part. 3 116,000 7 SEVENTEEN Happy Burstday 79,000 9 LE SSERAFIM Hot 73,000

2.2. '슈퍼팬'의 힘: 비즈니스 모델로서의 팬덤

K-POP 팬덤은 시장 침투에 있어 강력하고 조직적인 힘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디지털에 능숙하고 기술에 정통하며, 레딧(Reddit)에서는 일렉트로닉/댄스 장르와 함께 1위를 차지하고 디스코드(Discord)와 같은 다른 플랫폼에서도 높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11 팬들은 라이브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독점 콘텐츠를 공유하며, 스트리밍 파티나 팁 캠페인 같은 조직적인 활동을 펼친다.11 이러한 높은 수준의 참여는 단순한 사회적 활동을 넘어 K-POP의 상업적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차트 지표와 수익 흐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1 위버스(Weverse)와 버블(Bubble) 같은 플랫폼을 통해 아티스트와 팬 사이의 "양방향 소통 채널"이 구축되면, "준사회적 친밀감(parasocial intimacy)"이 강화되어 팬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경제 활동을 촉진한다.6 K-POP 팬덤은 시장 침투를 위한 매우 가치 있고 전략적인 자원이다. 이들의 조직화, 동원, 데이터 기반 캠페인 수행 능력은 차트 데뷔와 같은 특정 시장 결과를 이끌어내고, 탄탄한 경제 기반을 구축하는 강력한 힘이 된다. 팬들의 이러한 디지털 활동은 차트 순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리밍 및 구매 캠페인과 같은 실질적인 결과로 이어진다.3 또한 팬들은 비디오를 편집하고 이론을 생성하는 등 콘텐츠 공동 제작에도 참여하여 아티스트의 서사에 대한 투자를 심화시킨다.6 팬들이 AI 생성 콘텐츠에 개방적이라는 점(미국 K-POP 팬의 40%가 AI가 부르는 오리지널 곡에 대해 편안함을 느낀다고 응답)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독특한 개방성을 보여주며, 콘텐츠 제작 및 마케팅을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다.11 결론적으로, 팬덤은 단순한 수동적 청중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역동적인 자가 조직화된 노동력이다. 엔터테인먼트 회사에게 이는 팬 커뮤니티를 이해하고 육성하는 것이 시장 성공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임을 의미한다.

2.3. 라이브 경험: K-POP의 투어 및 공연장 장악력

라이브 공연은 K-POP의 핵심 수익원이며 미국 내 인기를 가늠하는 명확한 지표이다. 스트레이 키즈의 "DominATE" 투어는 관객 수와 수익 면에서 북미에서 가장 큰 K-POP 투어로 기록되는 등, K-POP 투어가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있다.14 또한 투모로우바이투게더(TOMORROW X TOGETHER)는 뉴욕의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K-POP 아티스트 최초로 2회 연속 매진 공연을 펼쳤다.15 최고 그룹들의 공연장 선택은 그들의 인기를 보여준다. 로스앤젤레스의 SoFi 스타디움과 같이 최대 7만 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규모 공연장을 예약하는 경우가 많다.14 이는 다른 아티스트들이 종종 사용하는 소규모 공연장과는 대조적이며, K-POP이 많은 관객을 유치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준다.17 또한 로스앤젤레스와 뉴욕 같은 주요 도시에 K-POP 콘서트가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미국 내 팬덤이 분산되기보다는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시사한다.18 K-POP의 라이브 콘서트 시장 지배력은 그 진정한 경제력과 미국 내 문화적 입지를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지표다. 이는 일부 스트리밍 지표와 달리 팬들이 쉽게 조작하거나 만들어낼 수 없는 수준의 헌신과 소비를 의미한다.3 스타디움급 투어와 높은 수익을 올리는 공연은 상당수의 미국 팬들이 단순히 참여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열정을 높은 가치의 경제적 지원으로 기꺼이 전환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따라서 디지털 지표가 K-POP의 도달 범위를 엿보게 해준다면, 라이브 콘서트 데이터는 장르의 실제적이고 재정적이며 문화적인 영향력을 측정하는 가장 정확하고 설득력 있는 척도를 제공한다. Table 4: 최근 K-POP 월드 투어의 북미 공연 (2024-2025) 아티스트 투어명 쇼의 수 총 관객 수 총 수익 Stray Kids DominATE 13 491,000명 7,620만 달러

Section 3: 경쟁 구도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 전망

3.1. 글로벌 생태계 속 K-POP: 경쟁 장르와의 비교

K-POP의 미국 내 성과를 라틴 음악 및 아프로비츠와 같은 다른 국제 음악 장르와 비교하여 더 넓은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2025년 Luminate Midyear Report에 따르면, 이들 장르와의 경쟁 심화가 K-POP의 미국 내 디지털 스트리밍 정체 현상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11 라틴 음악은 K-POP보다 훨씬 더 큰 글로벌 영향력과 유튜브 내 강력한 존재감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 조회수는 K-POP을 크게 능가한다.20 라틴 음악의 성공은 북미와의 지리적·문화적 근접성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21 아프로비츠 또한 세계 무대에서는 상대적으로 신흥 장르지만, 2021년 이후 미국과 영국 빌보드 차트에 꾸준히 진입하며 주요 지역에서 스트리밍이 증가하고 있다.22 이러한 비교는 K-POP이 고립된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장르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K-POP과 라틴 음악은 모두 하나의 바이럴 히트곡("강남스타일"과 "Despacito")을 통해 세계적인 "물결"을 일으켰지만, 미국 시장 내 궤적은 상당히 다르다. K-POP의 성공은 틈새 시장의 헌신적인 고소비 팬층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라틴 음악은 지리적 근접성과 대규모 디아스포라 커뮤니티 덕분에 더 넓고 주류적인 입지를 확보했다.21 라틴 아메리카가 북미와 지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미국에 대규모의 라틴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는 점은, 라틴계 아티스트에게 주류 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21 반면, K-POP 팬덤은 규모가 작고, 스포티파이 랩드(Spotify Wrapped)의 UC Davis "사운드 타운"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더욱 집중된 양상을 보인다.24 이는 K-POP이 팬 중심 전략과 문화 수출을 통해 팬층을 처음부터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광범위한 대중적 호소력보다는 틈새 시장의 참여에 더 의존하게 된다는 점을 의미한다. Table 5: 주요 글로벌 음악 장르의 미국 시장 점유율 및 성장 (2025년 상반기 기준) 장르 미국 시장 점유율 (%) 연간 스트리밍 성장률 (%) Hip-Hop/R&B 30.7 N/A Rock 14.7 N/A Pop 14.7 N/A Country 14.7 23.5 Latin 8.2 N/A

Note: K-POP은 2025년 Luminate Midyear Music Report의 미국 내 전체 스트리밍 순위 톱 10에 진입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물리적 판매 순위에서는 강력한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11

3.2.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적 과제와 기회

본 보고서의 분석은 K-POP의 미래를 위한 실질적인 통찰을 제공한다. 가장 큰 과제는 디지털 스트리밍의 정체와 강력한 물리적 판매에서 드러나듯, 헌신적이지만 틈새 시장에 머물러 있는 팬덤에 대한 의존성이다.11 이러한 집중은 아티스트가 "획일화된, 세계화된 청중"에게 어필하려다 국내 팬층을 소외시키는 "장르 동질화"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26 하지만, 중요한 기회는 교차 장르 협업과 콘텐츠 중심 전략에 있다. 인기 있는 서구 아티스트와의 협업(예: 블랙핑크 로제와 브루노 마스)은 주류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26 또한 "KPop Demon Hunters" 사운드트랙의 성공은 비전통적인 형식을 활용하여 K-POP을 더 넓은 대중에게 소개하는 청사진을 제공한다.7 팬덤이 AI 생성 음악과 같은 새로운 기술에 대해 개방적이라는 점도 또 다른 기회이다.6 이는 콘텐츠 제작과 팬 참여를 위한 새로운 길을 열 수 있다.

결론 및 제언

결론

미국 내 K-POP의 인기는 복합적인 이중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핵심적인 강점은 물리적 앨범 판매와 매진된 투어를 주도하는 경제적으로 강력한 슈퍼팬 커뮤니티에 있다. 그러나 주된 도전 과제는 이러한 헌신적인 틈새 팬덤의 지지를 광범위한 주류 디지털 소비로 전환하는 것이다. K-POP의 미국 내 존재감은 여전히 라틴 음악처럼 광범위한 주류 통합을 달성하기보다는, 강력한 팬덤을 기반으로 한 틈새 시장에 머물러 있다.

제언

높은 가치의 참여에 우선순위를 둘 것: 핵심 팬층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팬 중심 플랫폼, 독점 상품, 콘텐츠를 통해 팬덤을 육성하여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수익원을 유지해야 한다. 콘텐츠 우선 전략 모색: 애니메이션 영화나 TV 쇼와 같은 콘텐츠 중심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투자하여 K-POP의 음악과 문화를 익숙한 형식으로 새로운 청중에게 소개해야 한다. 전략적 교차 장르 협업: 라틴 음악 및 아프로비츠와 같은 다른 세계적인 장르의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그들의 넓은 주류 팬층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해야 한다. 기술 혁신 활용: K-POP 팬덤의 기술에 정통한 특성을 활용하여 AI 기반 콘텐츠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참여 모델을 탐색하여 새로운 경험과 수익원을 창출해야 한다. 라이브 공연에 집중: 월드 투어를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대규모 공연장을 활용하여 주요 미국 도시에서 장르의 물리적, 경제적 입지를 굳건히 함으로써 주요 글로벌 콘서트 시장에서 K-POP의 위상을 공고히 해야 한다. 참고 자료 www.google.com,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google.com/search?q=K-pop+artists+on+Billboard+Hot+100+history (PDF) A Study on the Popularity of K-Pop Music Among American Teenagers,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68577006_A_Study_on_the_Popularity_of_K-Pop_Music_Among_American_Teenagers First entries of K-pop groups in Billboard Hot 100. : r/kpopthoughts - Reddit,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kpopthoughts/comments/1m3vg0n/first_entries_of_kpop_groups_in_billboard_hot_100/ BTS live album debuts at No. 10 on Billboard 200, setting new K-pop record - KED Global,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edglobal.com/k-pop/newsView/ked202507280006 Korean Pop Integration into American Music Culture - The Science Survey,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thesciencesurvey.com/editorial/2018/03/01/korean-pop-integration-into-american-music-culture/ K-Pop in America: A Growing Market, Digital Impact on Gen Z, and the Future of the Industry,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blackbird.ai/blog/k-pop-america-narrative-attacks-gen-z/ There's a new #1 song in the country, and it comes from an unlikely source - WCAI,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capeandislands.org/2025-08-15/theres-a-new-1-song-in-the-country-and-it-comes-from-an-unlikely-source KPop Demon Hunters' OST holds at No. 2 on Billboard 200; Golden ...,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edglobal.com/k-pop/newsView/ked202508110002 K-pop went from niche to normal in the States?? : r/kpopthoughts - Reddit,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kpopthoughts/comments/1mhs5wl/kpop_went_from_niche_to_normal_in_the_states/ K-pop fandom - V&A,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vam.ac.uk/articles/k-pop-fandom K-pop loses steam in global charts as CD sales keep genre afloat ...,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herald.com/article/10534198 Luminate Report Mid-2025: What the Numbers Tell Us - Reprtoir,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prtoir.com/blog/luminate-report-mid-2025 Utilization Of New Media As Digital Fandom Among Korean Pop (K-POP) Fan Groups On The Social Media Platform Twitter - ResearchGate,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6992450_Utilization_Of_New_Media_As_Digital_Fandom_Among_Korean_Pop_K-POP_Fan_Groups_On_The_Social_Media_Platform_Twitter SKZ's Dominate Tour becomes the biggest KPOP Tour in North America, South America and Europe : r/kpopthoughts - Reddit,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kpopthoughts/comments/1ml30sk/skzs_dominate_tour_becomes_the_biggest_kpop_tour/ Tomorrow X Together Tickets, 2025-2026 Concert Tour Dates | Ticketmaster,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icketmaster.com/tomorrow-x-together-tickets/artist/2631116 Concert venue shortage becomes headache for K-pop industry - The Korea Times,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koreatimes.co.kr/entertainment/k-pop/20240222/concert-venue-shortage-becomes-headache-for-k-pop-industry What would you consider a “big” concert? : r/kpopthoughts - Reddit,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reddit.com/r/kpopthoughts/comments/uugz7g/what_would_you_consider_a_big_concert/ From BLACKPINK to Stray Kids: The Ultimate 2025 U.S. K-Pop Tour Guide - Best of Korea,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bestofkorea.com/from-blackpink-to-stray-kids-the-ultimate-2025-u-s-k-pop-tour-guide/ Skipped Again? How K-pop Tours Actually Pick US Cities - YouTube,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youtube.com/watch?v=wIhEQGIrGhM Does K-pop overpower the Latin American music industry? - Quora,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quora.com/Does-K-pop-overpower-the-Latin-American-music-industry Selling Culture: Part 2, Reggaeton | Medium,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medium.com/@yejie1999/selling-culture-k-pop-reggaeton-and-afrobeats-1b46882ed797 A BLEND OF AFROBEATS AND KPOP: THE GENRE-BENDING HARMONY THE WORLD NEEDS - Deeds Magazine,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eedsmag.com/stories/a-blend-of-afrobeats-and-kpop-the-genre-bending-harmony-the-world-needs Music of the United States - Wikipedia,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en.wikipedia.org/wiki/Music_of_the_United_States THE DOWNLOAD: Davis K-Pop Fans Take Over Spotify Wrapped ...,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ucdavis.edu/news/download-davis-k-pop-fans-take-over-spotify-wrapped Top Selling Music Genres 2025: Streaming Trends & Market Insights - Accio,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accio.com/business/top-selling-music-genres 'It's ended up being nothing to no one': can K-pop overcome crisis? - The Guardian,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theguardian.com/music/2025/mar/27/can-k-pop-overcome-crisis K-Pop Streams Have Surged 362% on Spotify Since 2018, 8월 20, 2025에 액세스, https://www.digitalmusicnews.com/2024/10/08/k-pop-streams-have-surged-362-on-spotify-since-2018/

No comments to show